
Chokyu
April 14, 2025
2025년 전자세금계산서 의무발행 대상 기준
“8천만원 넘으면 무조건 확인하세요!”
안녕하세요, 중소기업 실무자를 위한 경리 노트를 쓰고 있는 경리 이과장입니다 😊
오늘은 많은 경리·회계 담당자분들이 헷갈려 하시는 전자세금계산서 의무발행 기준 변경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이번 글 하나로 2025년부터 어떤 사업자가 발급 의무가 생기는지, 그리고 의무 대상인지 홈택스에서 확인하는 법까지 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
🍀 바뀐 기준 한눈에 보기: “매출 8천 넘었으면 대상일 수도 있어요”
2024년 7월 1일부터 적용되는 변경 사항이에요.
구분 | 기존 (2023년까지) | 변경 (2024년 7월부터) |
---|---|---|
전자세금계산서 의무발행 기준 | 연매출 1억원 이상 | 연매출 8,000만원 이상 |
간이과세 기준 | 8,000만원 미만 | 1억 400만원 미만 |
즉, 매출이 8천만원을 넘기면 간이과세자든 일반과세자든 전자세금계산서를 발행해야 할 수 있다는 거죠!
🔍 “나는 의무 대상자일까?” 홈택스에서 바로 확인하는 법
이 부분은 의외로 실무에서 정말 많이 물어보세요.
제가 직접 고객사들과 이야기 나누다 보면,
“국세청에서 뭔가 통지서가 왔는데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
하는 분들도 많았거든요.
다행히 홈택스에서 확인이 정말 간단합니다.
📌 확인 방법

홈택스(hometax.go.kr) 접속 후 로그인
상단 메뉴에서 [나의 홈택스] 클릭
좌측 메뉴 중 [나의 전자세금계산서] > [발급의무 대상자 확인] 클릭
[조회하기] 버튼 누르면 대상 여부와 적용 기간까지 나옵니다!
✅ 혹시 통지서 못 받으신 분들! 꼭 여기서 직접 확인해보세요!
👀 실무 사례: "간이과세자도 의무 대상?!" – 진짜 있었던 이야기
저희 고객사 중에 경기도 구리에서 소형 꽃집을 운영하시는 사장님이 계세요.
작년 매출이 8,300만원 정도 나왔고, 계속 간이과세자로 세금 신고를 해오셨던 분이죠.
"나는 간이니까 괜찮겠지~"라고 생각하셨는데…
갑자기 국세청에서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의무 대상자라는 통보서가 날아온 거예요!
이후 저희 쪽에 급히 문의가 와서, 바로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시스템 도입하고, 세금계산서 발행 방법까지 같이 연습해드렸습니다. 😅
이처럼 "매출은 크지 않은데…" 하는 분들도 8천만원 넘었다면 무조건 확인해보셔야 해요!
📌 전자세금계산서 의무발행, 꼭 챙겨야 하는 이유
전자세금계산서 발급은 단순한 의무가 아니라, 부가세 신고, 경비처리, 거래처 신뢰 확보 등 실무 전반에 영향을 줍니다.
특히:
지연 발급 시 가산세 부과
거래처와의 투명한 거래 필요
향후 세무조사 리스크 관리
이런 부분을 생각하면, 지금부터 미리 준비하는 게 훨씬 속 편합니다!
🙋♀️ 실무에서 자주 받는 질문 3가지
Q1. 간이과세자인데, 전자세금계산서를 꼭 발급해야 하나요?
A. 네! 매출이 8천만원을 넘는 간이과세자도 의무 대상자가 될 수 있습니다. 과세 유형보다 ‘매출 기준’이 더 중요해졌어요.
Q2. 매출이 8,050만원인데도 의무 발행 대상인가요?
A. 네. 직전 연도 매출 기준이라서, 기준을 단 1만원이라도 초과하면 의무 발행 대상이 됩니다. 적용은 해당 연도 전체에 걸쳐요.
Q3. 발급 시스템 너무 어렵고 복잡한데, 쉽게 하는 방법 없을까요?
A. 물론 있어요! 요즘은 자동화된 AI 솔루션이 있어요.
청구스라는 프로그램이 있는데요, 세금계산서 발행은 물론이고 입금 확인, 미수금 관리까지 자동화돼요.
저희 팀도 쓰고 있는데, 주니어들이 진짜 만족하면서 쓰고 있답니다 😊
💡 경리·재무팀 담당자분들께 추천드리는 AI 자동화 솔루션!
경리, 재무팀 업무… 정말 많고 반복적이죠.
특히 청구서 보내고, 입금 확인하고, 미수금 관리까지 하다 보면 하루가 훌쩍 지나가곤 합니다.
저는 그래서 요즘 "청구스"라는 AI 기반 회계 솔루션을 써보고 있는데요, 진짜 일 줄어듭니다!

✔ 전자세금계산서 자동 발행
✔ 청구서 자동 발송
✔ 입금 확인까지 OK
✔ 미수금 알림까지 자동 처리
덕분에 저희 팀원들 요즘 칼퇴에, 팀장님께 에이스 소리 듣고 있어요!
💡같이 읽으면 좋은 글 추천!
Continue Reading